교육감 선거결과를 보면서...
Nothing 2008. 7. 31. 00:48
7월 30일 서울시 교육감 선거일이었다.
매우 낮은 투표율 15%를 보면서 한 숨이 한 번 나오고.
투표 마감 후 각 지역별 투표율을 보면서 가진 자와 못가진 자의 차이를 느끼며 한 숨 한 번 나오고.
개표 후 결과를 보면서 안타까움에 한 숨이 마지막으로 나왔다.
뭐 이러저러한 이야기를 다 떠나서 이번 선거에 대한 나의 지극히 개인적인 생각을 말하고자 한다.
공정택의 선거전략은 압도적인 우위를 선점했다고 볼 수 있다.
그가 논란을 가져왔던 말말말들을 지그시 누를 정도로 우위를 가질 수 있었던 것은 아마도 전교조라는 코드 덕이 아니었나 조심스레 생각해 본다. 반대로 주경복 후보는 전교조 덕분에 지지 않았나 하는 생각도 조심스레 들고...
주경복 후보는 전교조와 아무런 상관이 없다.
전교조에 가입되어 있는 교사도 아니고 전교조와 합하는 정책을 내놓은 것도 아니다.
단지 전교조의 지지를 받는다는 이유 하나로 공정택 측에서 전교조 출신 교육감은 절대 안된다는 식으로 내걸고 와 졸지에 국민대 교수가 전교조 출신 교육감 후보가 되어 버려 전교조에 대해 부정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는 많은 이들에게 반감을 샀던 것이다.
젊은 세대 중에 전교조 교사에 대한 반감을 가지고 있는 이들도 많은데 특히나 연세 있으신 분들은 전교조=좌익단체라고들 알고 계시니 공정택 후보의 선거전략은 성공적이었던 셈이다.
그리고 낮은 선거율.
이번 선거율은 그래도 높을 것이다라는 예상을 깨고 서울 시민의 15%만이 투표에 참가했다.
이것은 아마도 나와 직접적인 관계가 없는 투표로 생각하는 사람들이 대다수였을 테고 두번째로는 내가 안해도 될 사람은 될텐데 뭘~ 하고 생각하는 귀차니즘 주의자들 그리고 투표할 시간이 없다는 핑계로 하지 않은 사람들이 있을 것이다.
직접적인 관계자 이야기는 건너뛰고라도 귀차니즘과 시간 핑계 사람들...
이 사람들은 솔직히 답이 없다 생각이 든다.
친구 중 투표했냐 오늘 투표 꼭 해라 하고 보낸 문자에 안한다며 귀찮아서 안한다는 답에 순간 멍했던 기억이 난다. 이 친구는 어차피 내가 안해도 상관없잖아. 될 사람이 되는 건데 뭐하러 귀찮게 라는 주의다. 그래서 지난 대선 및 총선에도 안한 친구다. --; 세금 올리고 물가가 올라가는 것에 대해서 민감한 반응을 보이며 정권에 대해 신랄하게(?) 말을 하는 친구는 정작 행동으로써 보여줘야 할 때는 발을 빼버리는 친구다. 자신의 권리는 행사하지 않으면서 뭐가 그리 말이 많은지... 솔직히 이런 사람들이 한 두사람이 아닐꺼란 생각에 더 화가 난다.
그리고 시간 핑계로 투표를 하지 않은 사람.
그럼 반대로 투표한 사람들은 시간이 많아서 하는건가 하고 되묻고 싶다. 그러면 항상 나오는 대답은 나보다 나으니까 그렇지 그런다. 아침에 출근하면서 투표장 들르는 것이 그리 어려운 일인가? 오늘 선거는 휴일이 아니어서 직장인들은 모두 출근을 했을 것이다. 투표를 한 대다수의 직장인들은 아침 출근시간을 조금 서둘러 투표장에 나온 이들이 대부분인 것이다. 시간쪼개기가 그리도 힘든 일인가? 하고 되묻고 싶다.
내 한 표가 지금의 학생들 미래의 투표권을 가진 기성세대가 될 아이들에게 얼마나 중요한지 서울시민의 85%는 망각하고 있다. 더군다나 걔들이 나와 무슨 상관이야 내가 먹고 살기도 바쁜데라고 답하는 어른들이 한두명이 아닐 것이다. 하지만 내가 먹고 사는 국가가 잘 운영이 되어야 나도 잘 먹고 잘 살 수 있다는 사실을 투표하지 않은 자들은 망각하고 있다. 아무리 현재의 나와 상관없는 교육감 투표라 하더라도 내가 내는 세금으로 운영이 되고 있는 것인데 그 세금을 올바르게 운영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는 커녕 그 세금을 길바닥에 내동댕이 치게 만들고 있는 것이다.
일부 시민들(15%)만이 열심히 참여한 교육감 선거.
시민들의 선거에 대한 의식이 높아지지 않는 한 우리나라는 돈만 있으면 뭐든 잘되는 나라라는 오명(?)에서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기득권층이라 불리는 강남권의 투표율과 후보 지지율은 한 번 살펴보라. 그 결과를 보고 투표에 참여하지 않는 비기득권층은 반성을 해야 할 것이다. 나 하나쯤이야 하는 안일한 생각에 대한 결과는 가까운 미래든 먼 미래든 자신에게 부메랑이 되어 되돌아올 수도 있다는 것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
매우 낮은 투표율 15%를 보면서 한 숨이 한 번 나오고.
투표 마감 후 각 지역별 투표율을 보면서 가진 자와 못가진 자의 차이를 느끼며 한 숨 한 번 나오고.
개표 후 결과를 보면서 안타까움에 한 숨이 마지막으로 나왔다.
뭐 이러저러한 이야기를 다 떠나서 이번 선거에 대한 나의 지극히 개인적인 생각을 말하고자 한다.
공정택의 선거전략은 압도적인 우위를 선점했다고 볼 수 있다.
그가 논란을 가져왔던 말말말들을 지그시 누를 정도로 우위를 가질 수 있었던 것은 아마도 전교조라는 코드 덕이 아니었나 조심스레 생각해 본다. 반대로 주경복 후보는 전교조 덕분에 지지 않았나 하는 생각도 조심스레 들고...
주경복 후보는 전교조와 아무런 상관이 없다.
전교조에 가입되어 있는 교사도 아니고 전교조와 합하는 정책을 내놓은 것도 아니다.
단지 전교조의 지지를 받는다는 이유 하나로 공정택 측에서 전교조 출신 교육감은 절대 안된다는 식으로 내걸고 와 졸지에 국민대 교수가 전교조 출신 교육감 후보가 되어 버려 전교조에 대해 부정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는 많은 이들에게 반감을 샀던 것이다.
젊은 세대 중에 전교조 교사에 대한 반감을 가지고 있는 이들도 많은데 특히나 연세 있으신 분들은 전교조=좌익단체라고들 알고 계시니 공정택 후보의 선거전략은 성공적이었던 셈이다.
그리고 낮은 선거율.
이번 선거율은 그래도 높을 것이다라는 예상을 깨고 서울 시민의 15%만이 투표에 참가했다.
이것은 아마도 나와 직접적인 관계가 없는 투표로 생각하는 사람들이 대다수였을 테고 두번째로는 내가 안해도 될 사람은 될텐데 뭘~ 하고 생각하는 귀차니즘 주의자들 그리고 투표할 시간이 없다는 핑계로 하지 않은 사람들이 있을 것이다.
직접적인 관계자 이야기는 건너뛰고라도 귀차니즘과 시간 핑계 사람들...
이 사람들은 솔직히 답이 없다 생각이 든다.
친구 중 투표했냐 오늘 투표 꼭 해라 하고 보낸 문자에 안한다며 귀찮아서 안한다는 답에 순간 멍했던 기억이 난다. 이 친구는 어차피 내가 안해도 상관없잖아. 될 사람이 되는 건데 뭐하러 귀찮게 라는 주의다. 그래서 지난 대선 및 총선에도 안한 친구다. --; 세금 올리고 물가가 올라가는 것에 대해서 민감한 반응을 보이며 정권에 대해 신랄하게(?) 말을 하는 친구는 정작 행동으로써 보여줘야 할 때는 발을 빼버리는 친구다. 자신의 권리는 행사하지 않으면서 뭐가 그리 말이 많은지... 솔직히 이런 사람들이 한 두사람이 아닐꺼란 생각에 더 화가 난다.
그리고 시간 핑계로 투표를 하지 않은 사람.
그럼 반대로 투표한 사람들은 시간이 많아서 하는건가 하고 되묻고 싶다. 그러면 항상 나오는 대답은 나보다 나으니까 그렇지 그런다. 아침에 출근하면서 투표장 들르는 것이 그리 어려운 일인가? 오늘 선거는 휴일이 아니어서 직장인들은 모두 출근을 했을 것이다. 투표를 한 대다수의 직장인들은 아침 출근시간을 조금 서둘러 투표장에 나온 이들이 대부분인 것이다. 시간쪼개기가 그리도 힘든 일인가? 하고 되묻고 싶다.
내 한 표가 지금의 학생들 미래의 투표권을 가진 기성세대가 될 아이들에게 얼마나 중요한지 서울시민의 85%는 망각하고 있다. 더군다나 걔들이 나와 무슨 상관이야 내가 먹고 살기도 바쁜데라고 답하는 어른들이 한두명이 아닐 것이다. 하지만 내가 먹고 사는 국가가 잘 운영이 되어야 나도 잘 먹고 잘 살 수 있다는 사실을 투표하지 않은 자들은 망각하고 있다. 아무리 현재의 나와 상관없는 교육감 투표라 하더라도 내가 내는 세금으로 운영이 되고 있는 것인데 그 세금을 올바르게 운영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는 커녕 그 세금을 길바닥에 내동댕이 치게 만들고 있는 것이다.
일부 시민들(15%)만이 열심히 참여한 교육감 선거.
시민들의 선거에 대한 의식이 높아지지 않는 한 우리나라는 돈만 있으면 뭐든 잘되는 나라라는 오명(?)에서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기득권층이라 불리는 강남권의 투표율과 후보 지지율은 한 번 살펴보라. 그 결과를 보고 투표에 참여하지 않는 비기득권층은 반성을 해야 할 것이다. 나 하나쯤이야 하는 안일한 생각에 대한 결과는 가까운 미래든 먼 미래든 자신에게 부메랑이 되어 되돌아올 수도 있다는 것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